아래 글는 저자가 해양한국 요청으로 기고하여 발간된 기사(게재: 2025년 3월)다.
독자의 이해는 돕고자 저자가 작성한 초안의 일부 내용(표 등)을 추가한 점 참고하기 바란다.
---
최근 컨테이너선과 전기차 운송 선박에서 대형 화재사고가 잇따라 발생함에 따라 해운업계는 우려와 함께 관련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컨테이너선이 갈수록 초대형화되고 있고 배터리와 전기차 운송 또한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국제사회도 선박 내 화재 감지 및 진압 시스템에 대한 안전장치를 마련하기 위한 움직임을 가속화하고 있다.
실제로 2020년 1월 홍콩 항만에서 리튬이온 배터리 폭발로 인한 컨테이너선 ‘코스코 퍼시픽(Cosco Pacific)’호 화재, 그리고 2023년 7월 북해에서 전기차를 운송하던 자동차 운반선 ‘프리맨틀 하이웨이(Fremantle Highway)’호 화재사고 등은 이러한 문제의 심각성을 반증하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러한 사례들은 선박 내 화재 감지 및 진압 시스템의 미비점을 드러내며, 국제규제 강화 필요성을 부각시켰다. 아울러 컨테이너선의 경우 갈수록 초대형화되고 있으며, 배터리와 전기차 운송은 급격히 늘어나고 있어 종합적인 안전 규제와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해사분야 안전규제는 UN 산하 전문기구인 국제해사기구(이하 IMO)가 관장한다. IMO는 올해 2월 제11차 선박계통·설비 전문위원회(Sub-Committee on Ship Systems and Equipment, 이하 SSE)를 통해 컨테이너선과 전기차를 포함한 신에너지 자동차 운송 선박의 화재와 관련하여 최근 발생한 선박 화재사고에 대한 분석과 함께 기존 화재 대응 시스템의 개선강화 방안을 다각적으로 논의했다.
본지에서는 우리나라 해운·조선산업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는 국제해사분야의 현안과제를 연재하여 다루기로 한다. 이번 호에서는 IMO를 중심으로 한 컨테이너선과 전기차 운송선박의 화재안전 강화 방안 마련을 위한 국제사회의 동향과 전망을 살펴본다.
컨테이너선 화재 안전 강화
본 의제는 제8차 SSE(2022년)부터 국제협약인 해상인명안전협약(SOLAS)과 화재안전시스템 코드(FSS Code)의 화재 안전 요건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 작업을 다루고 있다.
제11차 SSE 회의는 컨테이너선 화물창(cargo hold) 및 개방갑판(cargo deck)의 화재 안전 강화에 필요한 8개 설비(표 1)에 대해 논의했으나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이후 실무작업반을 개설하여 추가 논의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컨테이너선 화재 안전 요건의 개정을 이번 회의에서 논의를 마무리하고 2028년부터 적용할 계획이었으나, 논의 지연으로 2028년까지 논의하여 2032년에 일괄 적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신에너지 자동차 운송 선박의 화재 안전 강화
최근 전기차 배터리로 인한 대형 화재사고 발생으로 우려가 커짐에 따라 IMO는 전기차를 운송하는 선박에 대하여도 화재 안전 강화 방안 마련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미 제10차 SSE(2024년 3월)에서 작업 로드맵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제11차 SSE(2025년 2월)는 세부적인 실행계획(action plan) 초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로드맵은 모두 5개 항목으로 1)관련 정보 및 신기술 검토, 2)내연기관 자동차와 비교한 신에너지 자동차의 위험도 식별, 3)목표 기반 접근법(goal-based approach) 검토, 4)기존 규정과의 차이점 식별, 5)기존 규정의 개정사항 식별로 구성되어 있다.
IMO는 2027년까지 전기차를 운송하는 선박에 대한 화재 감지·예방, 대응 및 확산방지 조치, 안전관리 및 교육·훈련 등 구체적인 기술요건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방안이 만들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나라는 전기차 배터리로 인한 화재사고의 경우 급격한 발열과 전이를 일으키는 열폭주(thermal runaway), 가연성가스 배출 등의 특성에 따른 화재진압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선박에서의 전기차 화재의 경우 빠른 화재 전파 속도와 차량 간 간격 협소 등으로 조기 화재 감지가 가능한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그 실례로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하여 개발한 비디오 화재탐지 시스템(Video Fire Detection System, VFDS) 기술을 IMO SSE에 제안하여 컨테이너선의 화재 안전 강화를 위한 8개 설비 중 하나로 포함하여 논의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그러한 한국 기술이 국제표준에 반영될 수 있도록 국제사회의 공감대 확산을 위해 지난 제11차 SSE 회의에서 IMO 회원국 및 관련 국제기구를 대상으로 해당 기술에 대한 발표와 리셉션을 진행하는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향후 전망 및 결론
UN 산하 전문기구로서 국제해사분야에 대한 국제규범을 총괄 관장하는 IMO 특성상, 논의가 진행되어 온 바대로 컨테이너선과 전기차 운송 선박에 대한 화재 안전 강화 규제는 국제표준으로 제정될 것이다.
컨테이너 화물 및 전기차 운송과 관련된 화재 안전 대책이 강화되면 선박 설계 및 운용 방식에 새로운 기술 도입과 설비 개선이 필요하므로, 해운업계 차원의 대책 마련도 필요할 것이다. 특히, 컨테이너 화물 및 전기차 운송 관련 화재 안전 설비와 관련하여, 기존 화재설비 산업 시장은 일본과 유럽이 선점하고 있는 반면, 현재 IMO에서 논의가 진행되어 도입될 기술은 한국에게도 새로운 시장 진입의 기회이다.
우리나라는 2024년에 ‘컨테이너선박 리튬배터리 운송 화재 예방 및 대응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여 컨테이너선 화재 안전 강화를 위한 지침을 마련했고, 또한, 전기차 운송 시 화재 예방을 위해 ‘카페리선박 전기차량 운송 시 화재 예방 및 대응 가이드라인’을 개정하여 배포한 바 있다.
또한 우리나라는 배터리와 전기차 생산 및 수출국이자, 이를 운송하는 선박을 건조·운용하는 해양강국이다. 국민의 생명과 자산을 보호하고, 해사산업 및 국제표준에 선도적 역할을 통하여 새로운 규제를 기회로 만들어 갈 수 있도록 관련 업계 및 정부 기관의 면밀하고 적극적인 협력과 공동 대응이 그 어느 때보다도 필요한 시점이다.
'알아두면 쏠쏠한 바다 이야기 > 국제해사기구(IMO)'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쏠바잡-13.1) 온실가스 배출 감축에 대한 국제사회의 노력은? (6) | 2025.03.22 |
---|---|
(알쏠바잡-14.2) 해운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노력, 어디까지 왔나? (4) | 2025.03.11 |
(알쏠바잡-7) 토리 캐니언 사고, 그리고 MARPOL 등 주요 협약의 탄생 (2) | 2024.11.01 |
국제해사기구(IMO) 구성 및 역할 (8) | 2024.10.02 |
(알쏠바잡-3) 타이타닉호 사고, 그리고 SOLAS의 탄생 (6) | 2024.09.19 |